Programming/JAVA18 Getter & Setter Getter & Setter 📝 예제코드 static class MyClass { private String className; public String getClassName() { return className; } public void setClassName(String className) { this.className = className; } } 예제를 보면 인텔리제이에서 ‘MyClass’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Alt + Insert를 클릭하면 Getter and Setter를 선택할 수 있다. Getter and Setter를 선택하면 상단의 소스 코드처럼 Get과 Set이 자동으로 세팅 된다. 이걸 자바 빈(Bean) 규약이라고 하는데, className 같은 경우 private이기 때문에 외.. 2023. 12. 19. ResponseBody 어노테이션 사용법 @ResponseBody (ResponseBody 어노테이션):HTTP에서 BODY 쪽에 return 데이터를 직접 넣어주겠다는 뜻임 ☝ 예제@GetMapping("hello-string")@ResponseBodypublic String helloString(@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 만약 @RequestParam(”name”) 여기 부분에 ‘stone’을 넣는다면 return 값은 “hello stone" 이 될 것이다.그래서 템플릿 엔진과 다르게 해당 문자열을 직접 뷰에 보낸다는 의미이다.(↔템플릿은 뷰 리졸버(View Resolver)에게 ‘나랑 맞는 애를 찾아줘’하고 요청을 던져서 화면에 출력함) ✌ 예제@.. 2023. 12. 19. Optional 클래스 java.util.Optional 클래스 Optional 클래스는 Integer나 Double 클래스처럼 'T'타입의 객체를 포장해 주는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이다. 따라서 Optional 인스턴스는 모든 타입의 참조 변수를 저장 가능함 이러한 Optional 객체를 사용하면 예상치 못한 NullPointerException 예외를 제공되는 메소드로 간단히 회피할 수 있다. 즉, 복잡한 조건문 없이도 널(null) 값으로 인해 발생하는 예외를 처리할 수 있게된다. (지긋지긋한 null🎃) 💡 Optional 메소드 of() 혹은 ofNullable() 메소드를 사용하여 Optional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of() : null이 아닌 명시된 값을 가지는 Optional 객체를 반환 만.. 2022. 8. 18. 스택(Stack)의 구조 스택(Stack)의 구조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또는 FILO(First In, Last Out) 데이터 관리 방식을 따름 LIFO :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추출함 FILO : 처음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마지막에 추출함 데이터를 스택에 넣는건 push() / 데이터를 스택에서 꺼내는건 pop() 큐(Queue)가 FIFO 라면, 스택(Stack)은 LIFO 💡스택(Stack)의 장점 vs 단점 장점 : 구조의 단순화 / 데이터의 저장,읽기 속도 빠름 단점 : 데이터 최대 개수를 미리 정해야 하고, 미리 정한만큼 쓰지 못하면 저장공간의 낭비 발생 📝push와 pop을 이용한 예제코드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Test_stac.. 2022. 8. 11. 큐(Queue)의 구조 큐(Queue)의 구조 가장 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낼 수 있는 구조 FIFO(First in First out) / LILO(Last in Last out) 방식으로 이루어짐 큐에는 Enqueue(add(value), offer(value))와 Dequeue(poll(), remove()) 종류가 있음 Queu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inkedList 클래스를 사용하고, 어떤 데이터타입을 사용할건지 자료형 매개변수를 넣어서 지정 해줘야함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Test_queu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Queue q_int = new LinkedL.. 2022. 8. 11. 리스트(List) 와 ArrayList의 차이 List는 인터페이스고 ArrayList는 클래스이다. 클래스는 일반 클래스와, abstract로 정의된 추상 클래스로 나뉨 인터페이스는 모든 메서드가 추상 메서드인 경우를 의미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클래스는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추상 메서드를 모두 구현해야 함 (따라서 다양한 클래스를 상속받는 특정 인터페이스는 결국 동일한 메서드를 제공함) 하나의 예를 보자. List list1 = new ArrayList(); // list1을 ArrayList객체로 만듦 list1 = new LinkedList(); // 그리고 이렇게 LinkedList 객체로도 대체가 가능함 위의 예제에서 보듯이 List가 인터페이스인데, 해당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를 구현하는 게 ArrayList, LinkedList 둘 다.. 2022. 8. 11. 이전 1 2 3 다음